
해수 수조는 바닷물과 비슷한 환경이죠. 바닷가 가보시면, 아니 바다가 아니어도 아실 거예요. 강 같은 곳도 마찬가지니까요. 그 물비린내. 맡아본 경험 다들 있으시겠죠? 물비린내는 좋지 않아요.. 처음 해수수조를 만들고 수조 세팅하고 물고기도 몇 마리이지만 넣어보고,, 산호도 넣었죠. 그때까지만 해도 그런 냄새를 맡을 일이 없었답니다. 그런데 조명을 설치하고 나서 어느 날인가, 물비린내가 나기 시작하더라고요. 물도 자주 갈아주고 지저분한 거 아닌데 왜 그럴까, 하고 자세히 보니 수조에 갈조가 왔어요. 어흑. 저도 잘 모르는 거라 정확하게 표현은 못하겠네요. 수조에 암모니아 수치가 높아지면 갈조가 생긴답니다. 그리고 그 갈조가 생긴 후 또 찾아오는 게 녹조예요. 영양분이 많고 일조량이 많으면 그렇게 생기는 ..

새로운 산호를 데려다 놓고 몇일 지켜보니 좀 더 있어도 될거 같아 또 데리러 갑니다 ^^; 산호는 바이오로드(생물 밀집도)에 직접적인 큰 영향이 없으므로 산호가 과밀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아직 시작단계의 수조라서 과밀 근처도 못간 상태이니 봉달 고고고~~~ 이번엔 수족관에서 사는게 아니라 개인이 내놓은 산호들이예요. 직접 키우다가 여러가지 이유로 키우던 산호나 물고기를 판매하시는 분들이 많죠. 산호는 보통 가격대가 많이 높다보니 개인간 거래도 많습니다. 오늘 데려올 산호는 초보가 키우기에 무난한 편이라고 했어요. 이렇게 보니까 어색하네요. 하나씩 비닐에 담아 주셨어요. 연두색 사탕 두개가 얹혀 있는 걸로 보이는 왼쪽 산호는 캔디라고 부릅니다. 푸른 조명 빛에서 형광색을 예쁘게 보여줍니다..

이제 막 해수어를 시작한 해린이 (해수어 초보) 라 수조를 만들어놓고 나니 그 안에서 헤엄칠 물고기를 보고 싶었어요. 수조를 처음 만들고나면 지난 편에 설명했듯이 수조 환경이 적응되고 안정될때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물고기가 많이 연약하거든요. 해수어는 일반적으로 온도와 물성(물의 성질)에 민감해서 물이 안정된 후 물고기를 넣어야하는 게 맞아요. 일주일 좀 넘는 기간 동안 물만 채워둔채 마냥 기다리고 있자니 빨리 물고기를 넣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해수어중에 튼튼한 어종인 담셀을 물잡이 물고기로 결정했습니다. 담셀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나중에 넣을 니모가 붉은색에 가까운 어종이라서요, 푸른색을 가진 엘로테일블루담셀을 물잡이용으로 결정하고 수족관으로 GOGO~~ 물고기는 청계천 근처에 있는 ..

몇 년전 구피에 빠져 한참 담수어를 키웠습니다. 물고기가 헤엄치고 먹이를 주면 달려드는 모습을 보며 물멍에 빠져들곤 했거든요. ^^ 불멍도 좋지만 물멍도 해볼만 해요. 하지만, 여름에 높은 수온과 백점병과 같은 여러 병에 물고기가 죽게 되면서 어려움을 느끼고 결국 포기하고 접었죠. 요즘 코로나 때문에 집콕을 하다보니 심심하던 차에 해수어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네요. 사실 담수어보다 해수어가 보기에도 더 이쁘긴 하잖아요. 니모가 말미잘에 부비부비하는 꿈을 꿔 봅니다 ^^ 담수어 해봤던 경험이 있으니 최소한 막무가내의 실패는 하지않겠지~ 라는 근거없는 자신감(?) 으로. 시작해봅니다. 시작은 최소한의 필요 장비로 해 볼까하고 유투브와 해수어 카페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알아봤어요. 수조는 너무 큰건 감당을 못..